불탑뉴스신문사 송행임 기자 |
국가기관. 중앙행정기관 공무직 임금 및 처우 실태 조사결과 및 대선요구안 발표 공공연대노동조합 기자회견
4월29일 국회소통관 기자회견실에서 진보당 정혜경 국회의원, 이영훈 위원장의 모두발언과 최용운 농촌진흥청지부 지부장, 김정제 고용노돈부본부 본부장,의 현장발언에 이어서 김정환 문화체육관광부지부자의 기자회견 낭독문으로 진행순서를 가졌으며 그 요구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-공무직도 국민이다! 차별없는 임금, 투명한 채용, 인간다운 삶을 요구한다
- 기본급이 생계비도 못 넘는 현실에 대해 최저임금 산입법은 기본급 줄이고 각종 수당으로 때우는 기형적인 구조를 만들었고 이는 국가가법으로 정한 최저 수준조차 지키지 않겠다는 선언과 다름 없다.
-복리후생의 차별, 더 이상 외면하지 말며 추경 진짜 필요한 곳에 써야 한다.
- 고위공직자 자녀의 채용의혹 비리는 누구에게 물어야 하는가?
국가기관안에서도 노동조건은 제각각이다.똑 같이 일하고 똑 같이 성과를 내도 기관과 직무에 따라 임금도 대우도 천차만별이다. 모든 공무직은 부처와 직무에 관계없이 존엄하기 일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에 나서야한다.
- 21대선 요구안으로 공무직 법제화와 임금위원회를 설치 할 것을 요구한다.
-우리는 다음과 같은 요점으로 요구한다
하나, 2025년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해 달라
하나, 최저임금 산입법을 폐지해 달라
하나, 직무와 무관한 공무직의 복리후생을 공무원과 동일하게 해 달라
하나, 공무직 임금을 생활임금 수준 이상으로 보장해달라
하나, 추경에 공무직 처우개선 예산을 반영해 달라
하나, 공무직 임금 기준을 통일해 달라
하나, 공무직 법제화와 공공부문 임금위원회 설치를 추진해 달라
우리는 더 이상 침묵하지 않겠습니다. 이번에도 외면 한다면 우리는 총 파업을 포함한 강력한 투쟁에 돌입할 것이며 이것은 단지 임금 문제가 아닌 사람답개 살 권리, 공정하게 대우 받을 권리에 대한 문제이다.
끝으로 새 정부에 발 한다.
전 대통령 윤석열 정부의 무책임한 감세정책과 노동자 희생을 기반으로 한 반서민 정책은 결국 탄핵이라는 역사적 심판을 받았다. 이제 새롭게 출범할 정부는 달라야 한다. 공무직을 더 이상 하위 노동력으로 취급하지 말며, 차별 없는 처우와 생계 가능한 임금, 그리고 존엄한 노동을 보장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개혁의 시작이라고 말 할 수 있으며 바뀐 시대에 맞는 책임 있는 변화와 결단을 요구한다. 또한 공무직 노동자의 삶을 외면하지 않는 정부, 공정이 실현되고 노동니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